CTS/RTS 제어, DTR ON, RTS ON 은 기기의 하드웨어적으로 신호를 받을 수 있을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드웨어적으로 위의 기능이 포함이 안되어 있다면 사용을 하실 수 없습니다. 아래는 간략한 설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서, RS232C-RS485 변환기중 일부 모델, DIAL-UP MODEM, 전용선 모뎀 등을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RTS/CTS 제어
X-온/X-오프 흐름 제어와 비슷한 속도 정합 기법입니다. 송신 요구/송신가능(RTS/CTS) 방법
이 있습니다. 이것은 시스템(컴퓨터)과 모뎀, 또는 통신 장치 간에 전기 신호와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 합니다.
※DTR(data to request): 데이터 전송 후 응답요구 시
컴퓨터와 외부장치 사이의 직렬통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하나로 컴퓨터 또는 데이터 단말
장치(DTE)가 데이터 전송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해 컴퓨터나 DTE에서 모뎀
이나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로 전달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신호입니다.
RS-232C 인터페이스에서 25번 선으로 전달되는 하드웨어 신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모뎀이 PC와 같은 DTE가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로 사용됩니다.
일부 RS232/485 변환기는 이 신호를 전원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RTS(request to send): 전송요구
컴퓨터와 외부 장치 간 직렬통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일종으로, 송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컴퓨터나 데이터 단말 장치(DTE)에서 모뎀이나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
로 전달되는 인터페이스 제어신호입니다.
RS-232C 인터페이스에서 DB25, 9번 선으로 전달되는 하드웨어 신호입니다.
(일반적으로 DTE는 PC 또는 PLC와 같은 최종기기를 말하며, DCE는 모뎀과 같은 통신장치를 말합니다)
RTS 신호를 받은 DCE는 통신 회선이 전송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 되면 CTS 신호를 DTE 에게 전달합니다. CTS 신호를 받은 DTE는 이때부터 송신을 실시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RTS를
OFF 하여 송신의 종류를 DCE에게 알려 줍니다.